URL : http://pds22.egloos.com/pds/201203/12/35/20103103023115_admin.pdf
URL : http://www.tta.or.kr/data/weekly_view.jsp?news_id=3110
M2M 관련 표준화가 가속화 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내의 CoRE(Constrained RESTful Environments) 워킹그룹에서 6LoWPAN의 상위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로 2010년부터 표준화 활동을 시작한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의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CoAP가 M2M관련 표준 아키텍처 중 어디 부분에 위치하는 지를 보여주는 그림은 다음과 같다.
CoRE 워킹그룹에서 제정하려는 CoAP의 표준화 영역은 TCP와 UDP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계층을 포함한 상위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M2M 노드들 사이에서 어떻게 리소스 이벤트(예:온도, 습도)에 대한 요청을 하고 이벤트가 생겼을 경우 어떻게 비동기적으로 리소스 이벤트를 노드에게 전송할 지에 대한 방법을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기반의 접근방식으로 프로토콜을 설계하는 부분이다.
....
'Network > IoT-Co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물 인터넷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 스택 (0) | 2014.05.23 |
---|---|
(1)Coap이란 무엇인가 (0) | 2014.05.23 |
Non-IP 센서 지원 IETF CoAP 기반 센서접속프로토콜 기술 (0) | 2014.05.23 |
IETF CoAP 기반 센서 접속 프로토콜 기술 동향@ETRI (0) | 2014.05.23 |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시대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1-1 : CoAP (0) | 2014.05.23 |